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3) 비둘기 -이광수 오오 봄 아침에 구슬프게 우는 비둘기 죽은 그 애가 퍽으나도 설게 듣던 비둘기 그 애가 가는 날 아침에도 꼭 저렇게 울더니. 그 애, 그 착한 딸이 죽은 지도 벌써 일년 <나도 죽어서 비둘기가 되고 싶어 산으로 돌아 다니며 울고 싶어> 하더니. (『조광』, 1936.5) 민족주의에 입각한 계몽적 문학관으로 일관했던 춘원의 문학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이 작품은 비둘기를 소재로 하여 죽은 딸아이에 대한 슬픈 기억을 그린 2수의 연시조로 300편이 넘는 그의 많은 시가 중에서 가장 예술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어느 봄날 아침, 작가는 비둘기가 되고 싶다던 아이의 말을 떠올리며 저 새가 혹시 아이의 혼령이 현신(現身)한 것이 아닐까 하는 진한 육친의 정을 느끼고 있다. 병실 창가로 날아들던 비둘기를 바라보며 그 비둘기처럼 건강한 삶을 갈망하던 딸아이의 모습과, 일년 전 아이의 임종을 지켜보던 가슴 저린 아픔들이 아침에 듣게 된 비둘기 울음 소리와 더해져 선명하게 되살아나는 것이다. 또한 작가는 봄의 생동감과 아이의 죽음을 대조시키는 방법으로 자신의 슬픈 마음을 강조하는 한편,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 사회 현실의 참여 - 당대의 사회 현실에 대한 인식 제시, 그에 대한 대응 태도 □ 이육사 - 절정 * 극한 상황을 초극하려는 강인한 의비(견디기 어려운 상황에서 오히려 그것을 넉넉한 정신으로 받아들이는 강인함을 보임) * 비장감, 절박감이 감도는 절제의 목소리(어조) * '매운 계절' :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 * '서릿발 칼날진 그 위' : 극한 상황의 구체화 *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 저항 의식 *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 활동 불가능한 절망적 상황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극한 상황에 대한 극복 의지가 깨달음의 경지로 나타남 □ 이육사 - 청포도 * 조국 광복에의 염원, 평화스런 삶에의 소망 * '내가 바라는 손님' : 조국 해방을 의미 * '은쟁반에 /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 티없이 맑고 깨끗한 기다림의 모습 □ 이육사 - 교목 * 극한 현실에 굴하지 않는 꿋꿋한 의지, 삶을 포기하면서까지 자신의 의지를 지키고자 하는 결의 □ 심훈 - 그 날이 오면 * 민족 해방에 대한 간절한 갈망 □ 윤동주 - 서시 * 부끄럼 없는 삶에 대한 간절한 소망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2) 꽃을 두고 -최남선 나는 꽃을 즐겨 맞노라. 그러나 그의 아리따운 태도를 보고 눈이 어리어, 그의 향기로운 냄새를 맡고 코가 반하여, 정신없이 그를 즐겨 맞음 아니라 다만 칼날 같은 북풍(北風)을 더운 기운으로써 인정 없는 살기(殺氣)를 깊은 사랑으로써 대신하여 바꾸어 뼈가 저린 얼음 밑에 눌리고 피도 얼릴 눈구덩에 파묻혀 있던 억만 목숨을 건지고 집어 내어 다시 살리는 봄바람을 표장(表章)함으로 나는 그를 즐겨 맞노라. 나는 꽃을 즐겨 보노라. 그러나 그의 평화 기운 머금은 웃는 얼굴 흘리어 그의 부귀 기상 나타낸 성(盛)한 모양 탐하여 주책(主着)없이 그를 즐겨 봄이 아니라 다만 겉모양의 고운 것 매양 실상이 적고 처음 서슬 장한 것 대개 뒤끝 없는 중 오직 혼자 특별히 약간 영화 구안(榮華苟安)치도 아니고, 허다 마장(許多魔障) 겪으면서도 굽히지 않고, 억만 목숨을 만들고 늘어 내어 길이 전할 바 씨 열매를 보유함으로 나는 그를 즐겨 보노라. (『소년』 7호, 1909.5) <이해와 감상> 이 시는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통해 제기된 우리 시가의 근대성 획득 문제가 그대로 대두되고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현대시 주제별 정리(2) ■ 역사적 반성 □ 한용운 - 논개의 애인이 되어 그의 묘에 * 논개에 대한 예찬과 역사적, 실천적 삶의 다짐 * '-ㅂ니다' : 추모적. '-ㄴ다' : 단정적(역사적 장면 회고 부분). '-여' : 예찬적 * 과거의 사실을 현재형으로 표현 * 역설적 표현 : '날과 밤으로 흐르고 흐르는 남강은 가지 않습니다'(비극적 역사의 현장은 그대로 임). '바람과 비에 우두커니 섰는 촉석루는 살 길은 / 광음을 따라서 달음질칩니다.'(역사적 의미 가 많이 사라져감) □ 조지훈 - 봉황수 * 퇴락한 고궁의 옥좌 앞에서 왕조의 몰락과 주권의 상실을 회고하면서 비극적인 역사에 대한 슬픔을 노래(조국애와 역사 의식이 낭만적 성향과 함께 드러남) * 선경후정(先景後情)의 전개 * 나라를 패망하게 만든 상징적 존재 : 벌레, 산새, 비둘기, 거미줄 ■ 부정 불의에 저항하는 목소리 □ 김소월 -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 현실의 암담함과 어둠(평화로운 삶으로서 꿈 속 상황) → 현실 극복의 의지 □ 이육사 - 교목 * 극한 상황에 굴하지 않는 꿋꿋한 의지, 삶을 포기하면서까지 자신의 의지를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신완순(辛完淳) (사)우리문화선양회 역사연구소 이메일 nambook-tong1@hanmail.net 우리는 부모의 몸을 빌려 이 세상에 태어나서 살면서 누구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생각을 해보았을 것이다. 사실 이 문제는 인류가 생겨난 이래 끊임없이 계속되어온 궁금증이며 숙제다. 모든 학문과 종교가 생겨나고 발전되어 온 것도 이 문제로 인함이다. 이러한 질문에 고려시대 말 행촌 이암(李嵒) 선생이 편찬하신 『단군세기(檀君世紀)』와 조선시대 숙종 원년(1675년) 북애자(北崖子) 선생이 편찬한 『규원사화(揆園史話)』의 『단군기(檀君紀)』에 실려 있는 ‘천범(天範)’을 보면 답이 금방 나온다. 천범의 내용 중에 ‘이생유친(爾生惟親)이오 친강자천(親降自天)이라’ 하여 “너희가 태어남은 오로지 부모에 연유하였고 부모는 하늘로부터 내려오셨다.”라고 하여 우리가 하늘에서 왔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으며 다시 하늘로 돌아간다는 것은 천범(天範) 첫 구절을 보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조(詔)하야 왈천범(曰天範)은 유일(惟一)이오 불이궐문(弗二厥門)이니 이유순성(爾惟純誠)하야 일이심(一爾心)이라야 내조천(乃朝天)이니라.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글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글의 핵심을 요약하고 분석하여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글의 내용을 오래 기억하고 그것을 추후에 활용하는 데도 여러가지 쓸모가 있다.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최남선 1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때린다 부순다 무너 버린다. 태산 같은 높은 뫼, 집채 같은 바윗돌이나, 요것이 무어야,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느냐 모르느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 버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꽉. 2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내게는 아무 것 두려움 없어, 육상(陸上)에서, 아무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지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꽉. 3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가, 지금까지 있거든 통기(通寄)하고 나서 보아라. 진시황(秦始皇), 나파륜*, 너희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희 역시 내게는 굽히도다. 나하고 겨룰 이 있건 오너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꽉. 4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조그만 산모를 의지하거나, 좁쌀 같은 작은 섬, 손뼉만한 땅을 가지고, 고 속에 있어서 영악한 체를, 부리면서, 나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 삶에 대한 소망과 고뇌 □ 조지훈 - 승무 * 인간 번뇌의 종교적 승화. 삶의 번뇌와 해탈의 염원 * 번뇌 → 합장(승무 : 세속의 번뇌를 넘어가고자 하는 마음가짐과 의지) → 별빛(번뇌의 정화) * '번뇌는 별빛이라' : 해탈의 경지. '두 방울'이 참회의 눈물이라면 → 참회를 통해 세속적인 번뇌 의 극복 * '나빌레라' : 번뇌와 별빛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는 재생의 이미지(자기 정화와 재생) □ 신석초 - 바라춤 * '솟아오르는 구슬픈 샘물은 어이할까나' : 내면에 떠오르는 슬픔과 비애 * '끝없는 갈림길이여' : 세속적인 욕망과 그로부터 벗어나 열반의 경지로 들어가려는 의지와의 갈등을 묘사 * 시적 자아 : 순수 세계, 무념 무상의 경지, 절대 열반의 세계 지향 □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 <기다림 → 좌절 →기다림>의 순환적 세계관 * 비장미(자기 희생, 슬픔 속에서는 느끼는 아름다움) * '모람', '봄' : 화자가 추구하는 세계 * '찬란한' : 봄이 우리에게 주는 꿈과 희망 * '슬픔' : 이루어질 수 없는 꿈에 대한 좌절감 □ 유치환 - 깃발 * 인간 존재의 동경과 좌절의 아픔,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경기도가 7월 11일부터 8월 19일까지 2022년도 하반기 ‘경기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신청을 받는다. 지원 대상은 대학·대학원 재학생(휴학생)과 미취업 졸업생으로, 본인 또는 직계존속 중 1명이 경기도에 주민등록상 1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 졸업생의 경우 대학 졸업 후 10년 이내, 대학원 졸업 후 4년 이내 졸업자여야 한다. 신청은 경기민원24 누리집(https://gg24.gg.go.kr)에서 온라인으로 해야 하고, 스마트폰 등 모바일도 가능하다. 올해 하반기 사업 결과 발표 및 이자 지급은 12월 예정이며, 한국장학재단 누리집(www.kosaf.go.kr)에서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120콜센터(031-120)로 문의하면 된다.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대상자가 2010년 2학기 이후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출받은 등록금과 생활비에 대한 올해 상반기(1~6월) 발생 이자를 경기도가 지급하게 된다. 지급은 대출 계좌 원리금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는 올해 하반기 접수부터 ‘경기민원24’을 통한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을 도입해 주민등록초본과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연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공공기관 파티는 끝났다.' 지난달 21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렇게 선언했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여 만에 공공기관에 대한 개혁을 예고한 것이다. '민간 주도 경제'를 강조하고 공공부문의 슬림화,효율화를 추구하는 윤석열 대통령은 방만한 공공기관에 대해 강도 높은 혁신을 주문해왔고, 이제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정부는 재무상태에 적신호가 켜진 14곳을 '재무 고위험 기관'으로 지정했고, 다수의 공공기관들은 성과급 반납 등 혁신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새 정부의 5대 구조개혁 과제 중 하나인 공공기관 개혁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 공공기관 개혁 왜 나왔나? 기획재정부가 지난달 21일 윤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공개 발표한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 방향-방만경영 사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350개 공공기관의 부채는 약 583조원으로, 2016년 말 499조4000억원과 비교했을때 16.7%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인력은 32만7000명에서 44만4000명으로 11만6000명(35.5%)이 늘었다. 공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