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김흥순 기고>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 가려진 장군들

대표적 인물은 간도 국민회군 사령관 안무(安武)다.
봉오동, 청산리 전투에서 숨은 주역이었던 것은 2인자였기 때문이다.
20년대 간도지역에서 가장 오랫동안 독립군을 이끌고 일관성 있게 무장투쟁을 벌인 항일운동가다.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 가려진 장군들 -(1)1924년 9월 8일 독립운동가 청전(靑田) 안무(安武)사망

우리는 과거나 지금이나 1인자나 유명인만 알고 다른 사람은 기억 못하는 병에 걸렸다. 봉오동 전투만 해도 그렇다. 홍범도 장군 혼자 알고 있다. 안무 장군이 없었다면 택도 없는 일이다.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독립전쟁은 일제하 무장투쟁사의 가장 빛나는 업적으로 꼽힌다. 이 전쟁에서 대승을 거둔 홍범도와 김좌진은 훗날 민족의 영웅으로 추앙을 받았다. 봉오동과 청산리의 승리는 한 두 명의 영웅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수많은 항일투사, 독립군 부대들이 연합해 일궈낸 대승리였다. 우리가 ‘항일 영웅’ 김좌진과 홍범도에 가린 독립군을 기억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김좌진과 홍범도에 가려진 대표적 인물은 간도 국민회군 사령관 안무(安武)다. 안무 장군이 봉오동, 청산리 전투에서 숨은 주역이었던 것은 2인자였기 때문이다. 그는 20년대 간도지역에서 가장 오랫동안 독립군을 이끌고 일관성 있게 무장투쟁을 벌인 항일운동가다. 1924년 9월 8일 오늘 순국하신 안무 장군의 순국선열을 우리는 오래토록 기억해야 되겠다. 안무 장군의 공식 묘역만 두 곳이며 한 때 묻혔던 곳을 더하면 4-5곳이다.

 

호는 청전이며 본명은 안병호인 안무장군은 함북 경성에서 출생하였다.1899년 대한제국 육군 진위대에 입대하였으며 한성교련관양성소를 졸업하고 진위대 교련관이 되었다. 1910년 일제의 국권침탈 때 안무 선생은 지린성으로 피신하시어 대한국민회를 조직하여 부회장이 되었다.3.1 운동 후 독립군사령부를 창설 하셨으며 군무위원 및 사령관으로 독립군을 양성 하였다.

 

1920년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및 최진동의 군무도독부군과 연합사령부를 조직하여 사령관 최진동의 부관이 되었다. 그 해 6월 봉오동 전투가 일어난다. 봉오동 전투에서는 일본군 150여명을 전사시키는 대승리를 거두었다. 1883년 6월 29일 함경북도 경성(鏡城)군 행영(行營)면에서 출생하였다. 일명 병호(秉鎬), 호(號)는 청전(靑田)이다. 17세까지 고향에서 성장한 선생은 1899년 대한제국 진위대병사로 입대하여 하사관을 거쳐 서울 교련관 양성소를 졸업한 후 무산 등지에서 교련관으로 근무하였다.

 

교련관은 조선후기 각 군영 소속 군관직의 하나로서 주로 군대의 교련을 맡은 품외직으로 출신(出身), 전함(前銜), 한량(閑良), 항오(行伍, 兵卒)를 막론하고 사법(射法), 병서강(兵書講), 진법(陳法) 등 3기(三技)로써 시험을 치러 선발하였다.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군이 일제에 의해 강제해산 당하게 되자 시위대 제1연대 1대대, 제2연대 1대대 병사들은 통분함을 이기지 못하여 일군과 전투를 벌였다. 당시 일군과 교전중 전사한 장교가 11명, 사병은 57명, 부상자가 일백여 명, 그리고 피체된 수는 막대하였다.

 

서울의 군대 해산과 시위대의 항전은 지방 진위대 병사들에게 알려지고 시위대에 대한 일군의 잔인한 학살 행위는 그들을 격분시켰으며 순식간에 한국군의 봉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 중에서도 의병을 모집하여 일군과 싸우는 의병전쟁으로 확대 되었다. 일제하에서 군에 몸담고 있다는 것은 양심상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 선생은 즉시 군복을 벗어 던지고 함북 경성의 함일학교(咸一學校)와 무산의 보성학교(普成學校)의 체육교사로 지내면서 학생들에게 병영식 체조를 가르쳐 장차 독립군으로서 필요한 체력과 담력을 배양시켰다.

 

1910년 일제가 나라를 병탄하자 안무는 두만강을 건너 간도로 이주한다. 간도에 망명해서 화룡현에 정착, 학교를 세우고 교육운동을 벌인다. 안무가 독립군 부대에 투신하게 된 것은 대한국민회에 가입하면서부터다. 3·1운동 직후 간도에서는 종래에 결성됐던 한인자치기관 간민회를 기초로 대한국민회가 조직된다. 당시 북간도 전역에 지회를 둘 만큼 방대한 조직을 거느렸던 대한국민회는 직할로 ‘국민회군’(일명 대한국민군)을 창설하고 사령관에 안무를 임명한다. 국민회군은 독립군 부대이면서 대한국민회의 조직을 보호하는 경찰군 기능도 담당했다. 당시 국민회군의 대원은 500명 정도였다.

 

1920년 5월 국민회군은 대한국민회의 독립군 통합정책에 따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최진동의 북로독군부 등과 연합한다. 당시 연합부대의 명칭은 대한북로독군부. 독군부 사령관은 최진동, 부관은 안무, 연대장은 홍범도가 맡았다. 독립군들은 때로는 개별 독립군 단위로, 때로는 연합하여 국내 진공작전을 펼쳤다. 안무가 이끄는 국민회군은 8차례에 걸쳐 두만강을 건너 일본군을 습격했으며, 홍범도 역시 수십차례 일본 국경수비대와 전투를 벌였다.

 

봉오동전투는 안무와 홍범도 연합군이 치러낸 가장 유명한 전투. 1920년 6월7일 대한북로독군부 연합군은 독립군을 공격하기 위해 두만강을 넘은 일본군을 봉오동으로 유인, 150여명을 전사시키는 대승리를 거두었다. 봉오동전투가 홍범도부대 단독으로 치른 전투가 아닌 것처럼, 그해 10월21일부터 6일간 벌어진 청산리 전투도 김좌진부대만의 전투는 아니었다. 청산리 대첩은 간도 일대 독립군들이 일군 승리였다. 특히 홍범도와 안무부대는 봉오동 및 청산리 전투 모두에 참가해 큰 공훈을 세웠다. 청산리에서는 일본군 1,200여명이 전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산리 전투 후 독립군 부대들은 사실상 해체된 채 일본군 토벌작전을 피해 중·소 국경지대로 옮겨간다. 김좌진은 흑룡강 넘어 영안현으로 옮겼고, 홍범도와 안무는 러시아로 건너갔다. 안무는 김좌진과 홍범도가 영안과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것과 달리 독립군 재건을 위해 1924년 만주 간도에 잠입한다. 그러나 용정시 모아산 부근에서 일본군에게 발각돼 기습 총격을 받고 부상당해 용정자혜병원에서 치료를 거부하다 숨을 거둔다. 당시 나이 41세였다. 안무의 국민회군 활동기간은 2년 남짓에 불과했다. 그러나 안무는 봉오동·청산리 전투의 숨은 영웅이었다. 또 모든 독립군들이 일본의 탄압을 피해 러시아로, 북만주로 떠났을 때 그는 간도로 돌아와 독립군 재건을 꿈꾸다 일본군의 흉탄에 숨을 거뒀다.

 

안무의 비통한 소식이 알려지자 독립운동가뿐 아니라 간도의 한인들은 모두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대하소설 ‘두만강’에 안무의 죽음을 상세히 기록한 작가 이기영은 소설에 당시의 조시(弔詩)를 소개했다.

‘하늘에 사무친 유한은 구름빛을 시꺼멓게 물들이고/땅 위에 거꾸러진 충혼은 피꽃이 붉게 피었더라.’(遺恨充天雲色黑 忠魂塗地血花紅)

 

안무가 희생된 후 그의 시신은 용정 일본영사관 지하실에 6일간 보관됐다 용정 시내 영국덕이에 묻혔다고 한다. 장례식 때 유혈폭동을 우려한 일본 경찰이 취한 선제 조치였다. 그만큼 안무는 일본에게 두려운 존재였다. 안무가 부각되지 못한 것은 봉오동·청산리 전투에서 2인자였기 때문이다.

 

그는 20년대 간도지역에서 가장 오랫동안 독립군을 이끌고 일관성 있게 무장투쟁을 벌인 항일운동가다.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김건환 기자

시공간 속의 여러 사건과 사고들은 누군가의 매체에서 전달 된다. 그러나 과연 여러 사슬망과 얽혀 있는 기존 매체의 보도 현실에서 정론을 기대할 수 있을까! 아임뉴스는 이 논점에서 부터 시작하는 SNS 매체로서 인터넷 언론 리딩을 지향한다.